For Programmer
boiler-plate란? 본문
git-hub에 보면 boilerplate란 용어를 굉장히 많이쓴다. 또한 boiler-plate이 실제 개발에 있어서 굉장히 유용한데 이는 단어 뜻 그대로 보일러를 찍어내는 통(접시)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. 즉, 코딩에서 적용해 보면 간단한 초기 기능의 반복적인 코드를 하나의 통안에 집어 넣는 다고 생각하면 된다. 그 통에 들어가는 코드를 boiler-plate이라고 생각하면된다.
우리가 만들 boiler-plate은 웹개발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되는 회원가입,로그인,기본페이지를 만들 것이며 몽고DB와 리액트 , node-js를 이용해서 만들 것이다.
프론트 즉, 화면에 보여질 부분을 React를 이용할 것이며 회원가입처리 로그인처리를 node.js를 이용하여 처리할 것이다. 또한 데이터저장은 no-sql의 대표적인 DB 몽고DB를 이용할 것이다.
백엔드 부분을 먼저 제작한 후 프론트부분을 제작할 것이다.(1~10강 backend , 11강~ frontend)
*단, 백엔드부분 즉, 서버API를 제작한 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Postman이라는 프로그램으로 정보를 전달할 것이다.(프론트부분을 먼저만들지 않기 때문에 서버로 예를들면 로그인 데이터를 전달할 수있는 방법이 없는데 이를 postman으로 해결할 것이다.)
*참고로 해당 강의는 John Ahn님의 해당강의를 바탕으로 만들었습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fgoMqmNKE18&list=PL9a7QRYt5fqkZC9jc7jntD1WuAogjo_9T
* 실행결과
'React & Node.js 프로젝트 > boiler-plate 제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5.서버를 자동으로 새로고침해주는 모듈 - boiler-plate 제작(backend) (0) | 2020.07.31 |
---|---|
4. postman을 이용한 회원가입기능 - boiler-plate제작(backend) (0) | 2020.07.31 |
3. git을 이용하여 git-hub에 파일 올리기 - boiler-plate 제작(backend) (0) | 2020.07.31 |
2.몽고DB와 연결하기 - boiler-plate제작(backend) (0) | 2020.07.31 |
1. node.js 파일 만들어 실행하기 - boiler-plate 제작(backend) (0) | 2020.07.31 |